맨위로가기

Made in Europ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de in Europe》는 1975년 4월 딥 퍼플의 유럽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앨범이다. 앨범은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에서 녹음되었으며, 딥 퍼플의 《번》과 《스톰브링어》 앨범의 곡들로 구성되었다. 발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딥 퍼플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재평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라이브 음반 - The Song Remains the Same
    The Song Remains the Same은 레드 제플린이 1976년에 발표한 라이브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로, 1973년 북미 투어 중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공연한 실황을 녹음한 것이며, 2007년 재발매되어 빌보드 200 차트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76년 라이브 음반 - Here and There
    《Here and There》는 1976년에 발매된 엘튼 존의 라이브 앨범으로, 런던과 뉴욕에서 녹음된 곡들을 수록하고 있으며, 존 레논이 참여한 곡들도 포함되어 있다.
  • 딥 퍼플의 라이브 음반 - In Concert with The London Symphony Orchestra
    In Concert with The London Symphony Orchestra는 딥 퍼플이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딥 퍼플의 대표곡들과 존 로드의 곡을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한 라이브 앨범으로, 록 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융합을 시도한 작품이며 싱글 디스크 및 DVD 버전으로도 발매되었다.
  • 딥 퍼플의 라이브 음반 - Live at The Olympia '96
    딥 퍼플의 라이브 앨범 Live at The Olympia '96은 1996년 Purpendicular 월드 투어 중 파리 올림피아 극장 공연 실황을 담았으며, "Fireball", "Smoke on the Water" 등 대표곡들이 수록, 1997년 독일 앨범 차트 98위를 기록했다.
  •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한 음반 - Live After Death
    아이언 메이든의 라이브 앨범이자 콘서트 비디오인 《Live After Death》는 1984년 Powerslave 투어의 롱비치 아레나 공연 실황을 담아 1985년에 발매되었으며, 윈스턴 처칠 연설 인트로와 데릭 릭스의 앨범 커버가 특징적인 밴드의 대표적인 라이브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한 음반 - Long Live Rock 'n' Roll
    Long Live Rock 'n' Roll은 리치 블랙모어, 로니 제임스 디오, 코지 파웰이 참여하여 1978년에 발표한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레인보우의 세 번째 정규 음반으로,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받고 "Long Live Rock 'n' Roll", "L.A. Connection" 등의 싱글을 발매했다.
Made in Europe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Made in Europe
종류라이브 앨범
아티스트딥 퍼플
발매일1976년 11월
녹음일1975년 4월 4일 (오스트리아 그라츠)
장르하드 록, 헤비 메탈
길이45분 47초
레이블EMI/Purple (영국)
프로듀서딥 퍼플, 마틴 버치
딥 퍼플 음반 연표
이전 음반Made in Japan (1972)
현재 음반Made in Europe (1976)
다음 음반Last Concert in Japan (1977)
차트 성적
영국12위
일본19위
미국148위
평가
올뮤직"Allmusic":

2. 녹음 및 발매

《Made in Europe》은 1975년 4월 딥 퍼플의 유럽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앨범이다. 4월 4일 오스트리아 그라츠, 4월 5일 독일 자르브뤼켄, 4월 7일 프랑스 파리의 팔레 데 스포에서 롤링 스톤스 모바일 스튜디오를 이용해 녹음되었다.[2] 하지만 《Mk III: The Final Concerts》 라이너 노트에 따르면, 《Made in Europe》에 실린 곡들은 대부분 자르브뤼켄 공연에서 가져온 것이다.[2] 딥 퍼플은 1975년 3월 16일부터 4월 7일까지 유럽 투어를 개최했다.[13]

이 앨범은 스튜디오에서 광범위한 편집과 오버더빙을 거쳤다. 앨범에 실린 곡들은 딥 퍼플의 《번》과 《스톰브링어》 앨범에서 가져왔다. 「Mistreated」에서는, 리치 블랙모어가 에코 머신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이와의 오픈 릴 테이프 레코더 '''TP-1011'''가 불량 상태여서, 그는 부스터로 사용했다. 이 공연을 마지막으로 블랙모어는 탈퇴했고, 제3기는 종료되었다.

1990년, 메탈 블레이드 레코드를 통해 미국에서 리마스터링되어 재발매되었다.[5] 2007년에는 프라이데이 뮤직 레이블에서 재발매되었는데, 디지털 리마스터링 여부는 불분명하다.[5] 2014년, "슈퍼 디럭스" 박스 세트 발매가 예고되었으나, 2023년 7월 현재까지 소식이 없다.[5]

2. 1. 녹음 비화

3. 곡 목록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리치 블랙모어데이비드 커버데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1에는 1974년에 발매된 Burn에서 두 곡, Stormbringer에서 한 곡이 수록되었다.



Side Two에는 〈You Fool No One〉(16:42)과 〈Stormbringer〉(5:38)가 수록되어 있다. 〈You Fool No One〉은 1974년에 발매된 Burn에, 〈Stormbringer〉는 같은 해 발매된 Stormbringer에 수록된 곡이다. 〈You Fool No One〉은 리치 블랙모어, 데이비드 커버데일, 글렌 휴스, 존 로드, 이언 페이스가 작사/작곡하였고, 〈Stormbringer〉는 리치 블랙모어데이비드 커버데일이 작곡하였다.

※ 기재된 수록 시간은 LP 레코드의 라이너 노트의 내용이다.

3. 1. Side One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리치 블랙모어데이비드 커버데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1에는 1974년에 발매된 Burn에서 두 곡, Stormbringer에서 한 곡이 수록되었다.

3. 2. Side Two

Side Two에는 〈You Fool No One〉(16:42)과 〈Stormbringer〉(5:38)가 수록되어 있다. 〈You Fool No One〉은 1974년에 발매된 《Burn》에, 〈Stormbringer〉는 같은 해 발매된 《Stormbringer》에 수록된 곡이다. 〈You Fool No One〉은 리치 블랙모어, 데이비드 커버데일, 글렌 휴스, 존 로드, 이언 페이스가 작사/작곡하였고, 〈Stormbringer〉는 리치 블랙모어데이비드 커버데일이 작곡하였다.

4. 참여 인원

딥 퍼플의 멤버는 다음과 같다.



추가적으로 딥 퍼플과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을 담당했고, 믹 맥케나, 타파니 타파나이넨 및 마틴 버치가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믹싱은 이언 페이스와 마틴 버치가 담당하였다.

4. 1. 딥 퍼플

딥 퍼플의 멤버는 다음과 같다.

추가적으로 딥 퍼플과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을 담당했고, 믹 맥케나, 타파니 타파나이넨 및 마틴 버치가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믹싱은 이언 페이스와 마틴 버치가 담당하였다.

4. 2. 추가 인원

딥 퍼플 및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을 담당했다. 믹 맥케나, 타파니 타파나이넨, 마틴 버치가 엔지니어링을 담당했고, 이언 페이스와 마틴 버치가 믹싱을 담당했다.

5. 평가 및 반응

올뮤직에서는 별점 5점 만점에 2.5점을 받았다.[6] ''Select''에서는 별점 5점 만점에 3점을 받았다.[7] 발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이후 딥 퍼플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재평가되었다.

차트 순위

차트 (1976년)최고
순위
독일10
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8]12
일본 앨범 (오리콘)[9]19
뉴질랜드32
스웨덴25
영국12
미국 빌보드 200148


5. 1. 차트 순위

순위독일10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8]12일본 앨범 (오리콘)[9]19뉴질랜드32스웨덴25영국12미국 빌보드 200148


6. 딥 퍼플 3기의 해체

딥 퍼플은 1974년 12월에 제3기 두 번째 앨범인 폭풍의 사자를 발표했고[13], 1975년 3월 16일부터 4월 7일까지 유럽 투어를 개최했다. 본작은 투어 마지막 날인 4월 7일에 열린 파리 공연의 라이브 음원에서 5곡을 수록했다. 앨범 띠지나 해설에서는 "4월 7일 파리 공연 최종일을 중심으로 수록한 라이브 앨범"이라고 되어 있지만, 어떤 수록곡이 4월 7일 연주인지 불명확하다[13]

「Mistreated」에서는, 리치 블랙모어가 에코 머신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이와의 오픈 릴 테이프 레코더TP-1011가 불량 상태여서, 그는 부스터로 사용하고 있다.

이 공연을 마지막으로 리치 블랙모어는 탈퇴했고, 제3기는 종료되었다. 리치 블랙모어레인보우를 결성하여 자신의 음악적 방향을 추구했다.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Deep Purple live albums http://www.thehighwa[...]
[3] 웹사이트 Deep Purple – Live in Graz 1975 https://www.amazon.c[...] 2017-01-10
[4] 웹사이트 DEEP PURPLE – Paris 1975 https://www.amazon.c[...]
[5] 웹사이트 Deep Purple / "Made in Europe" box – SuperDeluxeEdition http://www.superdelu[...]
[6] AllMusic
[7] 간행물 The Original Purple Power 1990-10
[8]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2-05-27
[9]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10] ChartArchive ChartArchive - Deep Purple http://chartarchive.[...]
[11] 문서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1990年/ISBN 4-87131-025-6)p.205
[12] Awards Deep Purple - Awards http://www.allmusic.[...]
[13] 문서 4月7日の公演では、ほかに「ジブシー」「[[スモーク・オン・ザ・ウォーター]]」「[[スペース・トラッキン]]」「[[ハイウェイ・スター (曲)|ハイウェイ・スター]]」、[[ドン・ニックス]]作の「ゴーイング・ダウン」(Going Down)が演奏された。
[14] 올뮤직
[15] 웹인용 Deep Purple - Live in Graz 1975 https://www.amazon.c[...] 2017-01-10
[16] 웹인용 DEEP PURPLE - Paris 1975 https://www.amazo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